조합형 한글 폰트 만드는 것은 다듬어 가면서 완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거기에 기본폰트 영문, 대문자, 소문자, 숫자, 기호 등 기본 굴림체 작업을 마무리 하고 있습니다.
한글과 조화를 이뤄야 하는데 아직 작업을 다 못해서 영문은 커닝 조정이 필요해서 지금 폰트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스트로크 기반의 폰트를 만들겠다고 해서 가독성 높은 글자를 만들어볼까 하다가 일단 기능성 위주의 따라쓰기 폰트 그리고 SVG로 출력되는 에디터로 플로터에 활용할 수 있는 에디터 작업이 되면 제법 쓸만해 지지 않을까 합니다.
손글씨 서비스하는 업체들이 왜 서비스 중단했는지 대충 이해하기 시작했지만 그래도 해보면 될듯하네요.
유형별 폰트가이드를 다 제공하는 따라쓰기가…
폰트 가이드 프로그램 만드는 중입니다. 메트릭스 정보 및 자모조합 한영 커닝 다 잡으면 대략 끝
UFO ( Unified Font Object ) 통합 글꼴 개체로 작업 마무리 일러스트레이터나 웹에서 편집되면 배포하면 기본 작업을 하고 보면서 편집해볼 수 있게 웹기반으로 제작할까 합니다.
가이드 자체를 편집, 배열 그리고 삼각, 사각, 원형, 육각, 마름모 등으로 배치해서 글씨쓰기 기본형을 제시 붓글씨의 부리, 획, 모양 달아주면서… 다른 유형의 특정 장비를 위한 폰트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자수, 플로터, 로봇의 압력부분을 넣는 옵션을 넣을 수 있는 기능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1차로 만든 폰트는 일단 완성했습니다. 그러면 다른 사람들이 쉽게 폰트를 만들 수 있는 가이드가 필요해져서 그 문제를 해결하려면 보기 편한 에디터를 준비해야 할거 같습니다.
폰트를 만들 가이드에 대한 몇가지 아이디어를 일단 구현중입니다.
보통 폰트 에디터는 셰이프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저는 반대로 스트로크 기반의 편집기를 만들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몇가지 있는데 일단 각도에 따른 한글 서체 스타일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단 곡선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은 나중에 생각하고 간단한 폰트 에디터를 svg로 내보내기 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번호 자리를 비워놓고 번호 입력이 가능하도록 만듭니다.
원래 퍼즐 폰트를 만들 생각으로 간단히 만들었던 폰트 에디터가 있긴 합니다. 그것을 약간 수정해서 클릭한 곳에 원형과 숫자 그리고 연결되는 좌표별로 정보를 가지는 json이 생성되고 그 것을 기록하고 다시 불러올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수정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고 항상 라인의 생성시작 부분과 끝 좌표 부분 부리 삐침 닫침 부분이 자동으로 붙는… 형태의 폰트를 구성했습니다.
부리와 삐침 등의 모양을 붙이면 폰트가 생성됩니다.
이렇게 숫자와 방향(현재 구현중)이 붙는 폰트는 어디에 쓸거냐구요? 어린이 따라쓰기 책을 만들 생각입니다. 한글, 한자, 서체별 원하는 형태에 맞춰서 다양한 가이드라인이 나올 수 있도록
대략 손으로 만든 손글씨로 만든 폰트를 다른 쓸모를 만들기 위해 플로터용 폰트를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레이저 각인용, 플로터 굴림체는 하나의 스트로크로 만들어 진 것만 레이저로 커팅을 하거나 각인을 하거나 라인별로 스트로크를 한 라인으로 작업이 되어야 숙제나 반성문을 플로터로 찍어낼 수 있습니다. 응?!?
폰트는 stroke 로 그리고 다시 그 스트로크를 셰이프로 만들어야만 보이지만 플로터에서는 그렇게 처리하면 텍스트를 따라 몇회를 지나가게 됩니다. 그래서 두가지 형태로 제작도 가능하고 온라인에서 웹기반 한글 오토마타 입력기 및 SVG 편집기를 만들어서 SVG폰트로 결과물이 나오게 할 생각입니다.
그래서 도서구매 해주신 분에게 손글씨를 플로터로 개인화 해서 찍어내는… 얄팍한 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커팅기 실루엣4를 구매하고 멍하니 놀고있던 1인… 쓸모를 찾고있습니다.(?)
자 이제 다시 영문폰트를 한글폰트화 하는 프로젝트를 먼저 몇개 하고 폰트 스타일 몇가지 구분하면 쉽게 폰트를 만들 수 있는 서비스와 전자책 뷰어를 만들어볼까 합니다.
한글폰트 비트맵을 svg->초성, 중성, 종성을 조합해서 폰트를 재구성해서 ttf로 생성했습니다. 옛날 비트맵 폰트지만 손글씨를 저 모양으로 타블랫으로 그리게 되면 이제 완성도 높은 글자가 나옵니다.
같은 초성이라도 중성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에 따라 어떤 모양이냐에 따라 위치가 달라지고 초성의 모양이 달라집니다. 중성, 종성도 어떤 글자냐에 따라 다릅니다.
글자가 다 만들어지지만 현재 한글폰트만 생성되기 때문에 폰트의 완성도를 높여 작업하려면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그래도 조합해서 할 수 있는 글자라면 제작하는데 큰 무리없이 가능할 것이라 봅니다.이 폰트를 왜 제작하느냐면 자서전을 만드는 프로그램을 할 예정인데 본인의 글씨로 된 책을 만들 수 있게 하는 것과 포레스트검프처럼 과거의 시간과 이벤트가 매칭되는 글쓰기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습니다.아이패드로 글씨를 쓰면 자동으로 폰트가 생성되고 전자책의 구성은 어느정도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오랜시간이 걸리겠지만 개발의 첫발은 떼었습니다. 만화효과음 폰트 대사용 폰트 등 글자를 최소한으로 쓰고 오토마타로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을 만들 수 있으리라 봅니다. (자막기 만들던 기술)공개하는 이유는 이미 많은 회사들이 하고 있는 손글씨 폰트지만 저희는 저희 나름대로의 구성으로 전자책을 만드려는 중입니다.
일단 폰트를 자모 조합을 해서 폰트를 만드는 것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일단 폰트포지에서 python 으로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어서 잠깐 보고 폰트데이터를 -> svg로 제작 다시 초성 ,중성, 종성 코드별로 폰트가 조합되게 배치하고 글자의 형태에 맞춰 다시 짜깁기 해서 만드는 중입니다.
계속 이상한 에디터를 만들다가 갑자기 셰이프별로 조합하는 것을 만들고 AI가 뭘 하게 해볼까 하고있습니다. 전자책의 끝은 자기글씨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옛날 게임용 비트맵폰트 이미지를 받아서 조합형폰트 구조의 svg로 만들고 조합할 수 있는 모양에 맞춰 화면에 재배열하는 것을 만들었습니다. 128여개의 글자만 손으로 쓰면 폰트조합이 나오게 됩니다.
지금은 비트맵이지만 벡터로 그리거나 아이패드 같은 곳에서 따라쓰기 하면 바로 내 스타일의 한글이 만들어지게 할 수도 있고 일러스트레이터에서 조합형 폰트 기본형만 만들면 폰트가 생성되거나 영문폰트의 글리프 대로 한글폰트가 만들어지게 할 수 있습니다.
figma로 대충 디자인해보고 모바일용 사이즈에 맞춰 순위를 보여주는 위젯을 먼저 만들고 있습니다. 책등, 책표지를 보여주는 서가를 만든 것과 달리 위젯은 여기저기 화면에 배치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DIV안에 마스크해서 스크롤하는 것을 보여줘야 합니다.
자바스크립트로 해당 부분을 제어해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식을 선택할 예정입니다. 물론 서가형태로 책등이 나오는 것이나 다른 여러가지 아이디어는 있지만 일단 사이즈에 집중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순위데이터는 저희는 자체 집계 프로그램을 쓰는데 이걸 엑셀이나 구글스프레드시트, 웹페이지에서 가져올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진짜 내가 보고 있는 서가의 책을 블로그에 넣을 수 있게 하려고 하고 그게 판매가 되면 알라딘 TTB나 링크프라이스, 쿠팡 같은 곳에서 수수료를 줄 수 있게 해볼 계획입니다.
책소개도 읽어주는 형태로 바꿔볼 생각이 있고 이 책은 어떤 책인지 출판사가 직접 입력하게 만드는 부분도 필요할 것이라 봅니다.
아직은 서비스화 단계가 아니라서 기본적인 부분만 진행하려고 합니다.
책공장 텀블벅 진행중인 책이라든지 홍보할 수 있는 영역을 서로 본인의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달 수 있는 위젯으로 개발해볼 생각입니다. 앱으로 사이즈 변화도 기획에는 다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