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 처음 폰트를 만들었던 테스트 폰트였던 손굴림서체를 어제 자시 손을 봤습니다. 아직 완벽하지는 않지만 어린이들 글자를 처음 배울 때 크게 크게 쓰는 것을 목적으로 만든 폰트에 대한 아이디어였습니다.
요즘에 바르게 쓰는 것을 하면 두뇌가 좋아지고 손글씨가 학습에 더 좋다는 연구논문도 많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또박또박 쓰고 그리는 글자를 만들어보면 어떨까 하고 대략 디자인했는데… 대략 하니까 해야 할 일이 더 많아진 거 같아서 다시 원점에서 작업하는 중입니다.
지희가 만드는 폰트는 스트로크 기반으로 볼펜 같은 느낌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실 꽉 차는 글자를 만드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고 초성, 중성, 종성의 레이아웃이 자연스럽고 조화로워야 하는데 조합을 프로그램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글자에 대한 모양에 대한 공부를 하면서 정확하게 모든 글자를 배치, 배열하는 것으로는 문자와 문자 간의 동일 간격이라고 하더라도 착시가 발생하는 선의 특성상 글자가 작아 보이거나 삐뚤어지는 느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아 머리야…
하여간 계속 반복작업 중이며 완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산돌 호요요 폰트로 만든 책 표지가 산돌 홈페이지에 소개됐습니다. 타이틀에 맞는 글꼴이지 가독성이 높은 폰트라고 보긴 힘들어요 그리고 가변형의 폰트라서 글자형태에 따라 글자간격 너비가 달라집니다. 이런 것을 커닝이라고 부르는데 현제 네모형태의 서체라서 글자에는 큰 문제가 없는데 다양한 약물, 영문, 숫자등 다 맞춰야 할게 많습니다.
개별 문자 간의 간격의 조합은 사람이 할 일은 아니라서 자동화할 준비도 하고 있습니다. 예뻐 보이는 글자의 비밀은 숨겨진 문자와의 관계도 꼼꼼히 다 챙겨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립니다.
폰트는 만드는 것보다 고치는데 시간이 걸리는데 그걸 자동화하는 방법을 찾아내는 중 패스기반의 벡터로는 불가능하고 일단 레이아웃과 사람의 착시에 의한 글자 모양의 변화는 벡터를 이미지로 화면에서 읽게 하고 학습해서 재배열하는 방법을?!? 배열하는데 들어가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실험을 통해 끝낼 수 있을 듯합니다.
폰트 탈네모꼴은 이미지 테스트 했고 온전한 굴림, 궁서, 돋움, 그래픽서체 몇 가지 템플릿부터
결론은 기계가 이상한 부분을 체크해서 리포트를 하면서 메시지를 보내고 사람이 일하는 기계가 사람부리는 시대에 왔습니다.
폰트를 아예 다른 방식으로 판매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디자인 협업이나 베타에 참여하면 바로 서브스크립션 월 990원 짜리 대안폰트 만드는 프로젝트도 하고…
디자이너도 먹고살고 재미있는 프로젝트에 끊임없이 참여할 수 있는 그런… 하루에 몇십개 폰트 만들 수 있지만 대충 시작한 일이라도 완성도를 높이려면 엄청난 시간이 들어가는데 그걸 wiki 처럼 베타기간에 사용하고 승인이 되면 배포되고 최종 완성이 되면 수익화하는 오픈소스폰트 같은 기분이지만 pro버전용 폰트는 별개…
온라인 배포용 폰트가 필요한 소프트웨어 회사는 많으니까~
홍보가 되고 저렴하게 운영이 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면 승산이 있어보입니다. 공짜는 아니지만 홍보비용을 제작자들에게 준다고 생각하면 폰트이름 경매도 가능할거 같고 (마치 지하철 역이름 경매하듯)어차피 폰트시장에서 많이 사용하면 회사홍보가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거고 광고의 영역으로 생각하면 재미있는 시도가 될거라 봅니다.
다산 정약용 선생의 어린이를 위한 외국어 학습서 아학편에 나온 글자를 폰트로 만들어봤습니다. 몇일 작업해서 최소한의 구성은 끝냈습니다. 한글날 배포할 정도까지 해보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이제 글자 따라쓰기 노트로 본인의 레터링 작업 또는 손글씨를 폰트로 만들 사전준비는 거의 끝나가고 있습니다. 출판사의 IP인 표지 레터링과 같은 폰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죠.그리고 전문 폰트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따로 개발해서 운영중입니다. 매트릭스 부분이나 다른 영문, 한글, 글자간 커닝을 맞추는 것은 AI를 도입해서 해결할 예정입니다.
또한 한글 따라쓰기용 유형을 제공하는 노트도 만드는 중입니다. 하단 조합으로 몇가지 글자유형의 가이드를 가지고 글자를 만들어가게 됩니다. 아날로그에 익숙한 분에게는 종이노트, 디지탈에 익숙한 분에게는 PDF파일이나 드로잉 웹으로 보면서 확인하실 수 있게 할 예정입니다. (현재는 폰트 완성도를 맞추기위해 몇가지 유형만 제공하나 도형으로 구분된 가이드폰트를 만드는 중입니다.)
svg 한글폰트 가이드누구의 글씨가 됐건 기본 자모조합중 하나만 변경하면 모두 변경되게 하는 구상을 하다가 초성, 중성, 종성, 조합 테이블에 대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svg 폰트맵 파일 하나 만들어서 한글이 완성되게 하려고 합니다.이유는 누구나 한글폰트를 조합해서 만들 수 있게 그리고 가시적으로 보이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에디터로 만드는 것은 tldraw 나 illustrator(유료), inkscape(무료) 에서 얼마든지 가능하고 웹기반으로 만들거나 앱기반으로 만들거나 해도 glyphs(유료), fontforge(무료) 같은 폰트에디터로 최종적 조율을 해야합니다.한 번에 하나씩 거의 끝나갑니다. 출판사가 별걸 다하죠?출판사 책 정리하려고 별걸 다 합니다. =3=3=3
캘리그래피 용도의 Spiro Path 를 기반으로 제작한 한글폰트를 일단 테스트 했습니다. 잉크스케이프의 기능이나 현재 패스를 일러스트레이터의 브러시스타일을 지정하면 그 스타일로 다양한 폰트가 생성될 수 있고 필기구의 느낌을 폰트에 지정할 수 있어서 다양한 펜, 붓, 연필 필기구에 대한 압력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 필압에 대한 정보를 따로 넣는 것은 플로터나 로봇팔 하드웨어에 맞춘 것으로 별도로 준비중입니다.
패스기반 폰트를 만들면 스타일을 다양하게 뽑아낼 수 있으며 추후 미싱 스티칭기법을 적용한 폰트가 생성될 수 있고 이건 여기까지 대충 만든거에 대한 대충만든 결과물이지만 이제 폰트 완성도를 높이는 과정을 통해 온전한 결과를 낼 수 있으리라 봅니다.
사실 당장 급한 것은 아니라서 몇가지 정리해본 아이템을 바지저고리체 라고 해서 한복 모양을 기반으로한 글꼴 아이디어를 준비중이긴합니다. 그리고 만화효과음을 준비해서 애니메이션이 될 수 있게 만드는 것도 스케치해보고 있습니다.
폰트라기 보다는 브라우저에서 조합할 수 있는 한글이 더 어울릴 것이라 생각됩니다. 현재 아예 다른 오토마타와 배치구조를 만들 수 있는 에디터를 생각하고 있으며 웹폰트 비슷한 유형의 기능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웹툰에 효과음 몇가지를 외국어로 바꾸는 것처럼 비슷한 느낌의 효과음을 만들어서 바꾸면 어떨까 생각한게 십년은 넘은거 같은데 지금하고 있는건 늦은게 아닌가 했는데 반대로 한글공부하는데 쓰이면 재미있겠다 싶습니다.
그러면 만화 프레임을 만드는 기능에 효과음만 써넣는 것으로 제작하면 될거 같기도하고 펀딩용 소프트웨어를 만들어볼까 합니다. 일단 테스트 하나하나 끝내면 누구나 드로잉해서 폰트를 만들고 팔 수 있는 서비스로
레터링한 디자인을 가지고 한글을 만들 수 있는 그룹기반 에디터가 되겠지만 반대로 어떤 도형도 조합해서 좌표기반 조합이 가능한 것을 만들 수 있습니다. 현재 저는 숨은그림찾기, 변장한 사람찾기, 탐정 놀이 등을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우리회사가 아바타, 미니홈피, 플래시 제너레이터 만들던 회사라는거 잊지 마세요 ^^)
사실 디자인할 때 폰트에서 한글 자모를 떼어다가 레터링 하듯 폰트 자체를 다시 재구성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그룹지어 움직이거나 한글을 24자의 좌표조합으로 380여개로 늘려서 다시 완성형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구성을 통해 기존 폰트를 새로운 폰트로 만드는 것과 좌표에 의한 메타정보를 가지고 그때그때 다른 형태의 레터링이 가능하게 됩니다.
조합형 한글 폰트 만드는 것은 다듬어 가면서 완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거기에 기본폰트 영문, 대문자, 소문자, 숫자, 기호 등 기본 굴림체 작업을 마무리 하고 있습니다.
한글과 조화를 이뤄야 하는데 아직 작업을 다 못해서 영문은 커닝 조정이 필요해서 지금 폰트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스트로크 기반의 폰트를 만들겠다고 해서 가독성 높은 글자를 만들어볼까 하다가 일단 기능성 위주의 따라쓰기 폰트 그리고 SVG로 출력되는 에디터로 플로터에 활용할 수 있는 에디터 작업이 되면 제법 쓸만해 지지 않을까 합니다.
손글씨 서비스하는 업체들이 왜 서비스 중단했는지 대충 이해하기 시작했지만 그래도 해보면 될듯하네요.
유형별 폰트가이드를 다 제공하는 따라쓰기가…
폰트 가이드 프로그램 만드는 중입니다. 메트릭스 정보 및 자모조합 한영 커닝 다 잡으면 대략 끝
UFO ( Unified Font Object ) 통합 글꼴 개체로 작업 마무리 일러스트레이터나 웹에서 편집되면 배포하면 기본 작업을 하고 보면서 편집해볼 수 있게 웹기반으로 제작할까 합니다.
가이드 자체를 편집, 배열 그리고 삼각, 사각, 원형, 육각, 마름모 등으로 배치해서 글씨쓰기 기본형을 제시 붓글씨의 부리, 획, 모양 달아주면서… 다른 유형의 특정 장비를 위한 폰트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자수, 플로터, 로봇의 압력부분을 넣는 옵션을 넣을 수 있는 기능을 생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