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장바구니가 비어 있습니다!
[태그:] 게임
-
약자를 위한 북마케팅 – 블로그 타겟링크
약자를 위한 북마케팅 – 블로그 타겟링크
지난 2달간 재미있는 실험을 한가지 해보았다. 블로그 포스팅시 타겟 링크에 대한 실험으로 “스도쿠퍼즐 관련” 포스팅시 링크를 인터파크 도서로 바로 연결하는 것이었다.
플래시 게임에 도서링크를 거는 방식을 택했으나 팝업에 대한 제한(특정사이트는 팝업을 막는다.)도 있고 링크를 순환방식으로 돌렸기 때문에 신상품에 대한 링크를 표시하기에는 부담감이 있어 포스팅시 텍스트 링크를 별도로 추가했다.
8월에는 1개의 링크를 텍스트로도 실험했고, 그 이후에 텍스트와 이미지가 함께 있는 방식으로 전환했다.아무래도 도서는 책 표지를 노출시켜야 사람들이 인지하기 쉽다.
컨텐츠는 LPO(Landing Page Optimize)를 하기 위해 스도쿠 관련된 것 이외에는 전혀 링크를 걸지 않았다. 별다른 내용이 없는 곳에 타겟링크를 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보였고 블로거들의 특성상 관련없는 광고는 클릭하지도 않는다.선순환을 만들기 위해 블로그와는 달리 도서쇼핑몰에 비디오/사진과 같은 미디어로 도서홍보를 할 수 있는 정보를 따로 제공했다.
즉, SCM에서 도서 정보를 직접 편집하여 블로그에서 간략화된 정보를 보고 링크를 통해 들어오게 되면 구매의욕을 충족시킬 수 있는 보다 많은 정보와 가격차별화, 쿠폰, 이벤트 등을 노출하게 하였다.지지난 주부터 링크를 건 3개의 도서는 인터파크의 상식/퀴즈/퍼즐 분야의 주간베스트 1, 2, 3위에 올랐고 새로 올리고 있는 책의 경우에도 짧은 시간에 순위에 오르고 있는 중이다.
특별히 서평 마케팅을 하지 않아도 구매자들이 서평이나 구매평점에 참여를 많이 했다, 신간의 경우 구매차별화를 위해 할인쿠폰을 제공했다. (인터파크만 한것은 아니지만 아무래도 더 많은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링크를 걸때 할인쿠폰의 유무를 표시했다.)
만일 G마켓에 세트판매가 가능한 업체(도서가 아니라도 상관없다)라면 블로그+G마켓링크를 활용한 방법도 좋을 것이다. 한곳을 타겟화 한것은 전체 온라인 서점중에서 특한 곳에 판매를 늘려 순위에 오르게 되면 매절도 이루어지고 데이터의 명확한 근거를 찾을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번 책들을 인터파크로 몰아넣은 것은 가격이 1만원 미만이기 때문에 무료배송을 지원할 수 있는 업체가 인터파크, 알라딘 정도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전 책들이 인터파크에서 매출이 좋았기 때문에 인터파크로 몰았다. 하지만 도서 특성상 다른책은 매출흐름에 따라 선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된다.)LPO는 기본적으로 사람들의 마인드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심리적인 부분을 문장이나 그림으로 잘 이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마치 쇼핑호스트가 마감임박이라고 하는 것처럼 말이다.
이 실험은 블로그 한개를 운영해서 한 것이 아니고 20여개의 블로그를 매일 같은 컨텐츠를 돌려가며 운영하여 결과를 낸 것이다. 아침마다 한시간정도씩 투자해서 책이 더 나간다면 이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
이 실험에서 느낀 것은 만일 네트웍에서 많은 사람들이 같은 글을 새로 바꿔서 올려준다면 (펌질과 다르게 해야 한다. 제목도 다르게 구성하고 )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인구가 4천만이 넘는데 겨우 2,3천부를 못파는게 말이 안된다. 반드시 살 사람이 있으니 팔아보자!
-
인도 베다수학과 교육현실에 대한 이야기
인도 베다수학과 교육현실에 대한 이야기
IT업계에 있다 출판계로 넘어왔는데 최근에 애들 키우면서 느낀건 의외로 우리 아이들에게 초등학교 저학년들의 수학교육에 있어서 좋은 교육프로그램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플래시 게임으로 재미있게 구성되어 있는 구구단 게임이나 뭐 그런 것들을 몇개 보기는 했지만… 애들이 재미있어할까? 의문이다.
진짜로 아이들이 계산문제에 허덕이는 것은 초등학교 2학년 때 였던거 같다. 기적의 계산법인지는 모르겠지만 선생님이 똑같은 문제 10벌을 한글로 만들어 매일 10장씩 프린트한 것을 풀어오는 숙제였다.
대체 뭐하는 건지 이해를 못했다. 학교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은 파일의 데이터는 아예 같은 것이었다. 계산력을 키워주기 위해서라면 같은 문제를 쓰는 것은 곤란하지 않은가? 라는 생각을 하게됐다.
같은 계산을 또 하면 이게 계산훈련인가? 글씨쓰기 훈련인가?
계산을 빨리 하는 것은 좋지만 계산때문에 스트레스 받게 되는 것은 문제아닌가 생각되었다.
점점 지쳐가게 하는 방식은 아이들의 창의적 사고력을 짖밟는 행동이다. 초등학교 수학은 재미있는 시간인데 전혀 재미를 느끼지 못해 자칫 수학을 싫어하게 할 수 있는 교육이다.
베다수학을 일찍부터 공부해온 나로서는 대안수학을 학교에서 배우는 계산체계가 갖춰지지 못한 아들에게 가르치지는 못했지만 어느정도 국내현실에 맞는 계산체계를 익힌 지금은 (5학년)몇가지씩을 가르켜 줬더니 아이가 학교에서 자랑하고 다니는 것같고 학교에서도 수학에 많은 관심과 재능을 보이는 중이다.
아들팔아 책팔고 싶은 생각은 없지만 5학년된 아들은 이제 덧셈 뺄셈과 같은 사칙연산을 하는 나이가 아니다
아이들에게 새로운 수학적 알고리즘을 알려주고 싶은게 내 마음이고 IT업계에 있어서 현재 휴대폰 소프트웨어, 디바이스 소프트웨어가 사실 국내 개발자가 개발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잘 안다.
인도, 러시아, 동유럽권 등 현재 떠오르는 나라들의 핵심인재들이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이다. 어느나라가 핵심을 다른 나라사람에게 맏기는지 이해를 못할 행동이다. 이래서 이공계, IT가 엉망이 된건 아닌가 고민된다.
앞으로 자원이라고는 사람밖에 없는 우리나라에서 핵심분야의 솔루션을 개발 못한다면 후진국이 되버리지 않을까 고민한데 기인한다.
인도수학에 왜 관심을 가지고 애착을 가진 것이냐면 결국 수천년전에 만들어진 시스템이 현재의 계산체계를 능가하고 있고 그 능가함이 단순히 빠르게 계산하는 기계적인 계산에 의해서가 아니라 대수학의 원리를 가지고 있고 사람에 대한 배려를 가지고 있어서다.
사람이 기억할 수 있는 숫자는 얼마 되지 않는데 베다수학은 10, 100, 1000 등의 숫자를 단순화하여 기억할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는 룰에의해 계산을 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사실 암산법의 일부가 과거 19단 열풍의 이론체계였지만 안타깝게 한국에서는 인도에서 19단을 통째로 암기한다는 헛소리가 퍼진 것이 아쉬웠고 이 책이 늦게 나온 이유다. 19단의 계산체계를 이해하는 것이지 암기하는 것은 그 다음 부분이다. 이해가 먼저 암기가 나중이라는 것인데…(지난 시간이 안타깝기는 하지만)
인도수학에서 암산법보다 크로스계산법 즉, 필산법에서 베다수학은 정말 빛이 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배우는 계산법은 계산의 단계가 10 이라면 인도는 5정도로 줄어든다.
단계가 줄어드니 그만큼 수식이 복잡해지지 않는다.
승현이에게 이러한 부분이 꼭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정현이에게는 인도수학이 일상이 될 것이고 우리아이들에게 미안하지 않은 책을 만들기위해서 앞으로 더 노력하고 더 노력할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