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자유게시판

아무거나 기록

This category can be followed from the open social web via the handle thought@argo9.com

14.3k 토픽 14.3k 게시물
아르고나인|봄봄스쿨|생각정리AI연구소|폰트|만들기를 다룹니다.
  • 돈없이 LLM을 일시키는 것도 힘들다

    legoseriousplay
    1
    0 투표
    1 게시물
    0 조회수
    A
    원본: 레고시리어스플레이 작성자: 최고관리자 날짜: 2025-07-04 01:23:07 GoogleNotebookLM으로 제가 하는 일 몇가지와 웹사이트 백업본을 넣어줬더니 팟케스트를 만들어서 두사람이 대화하네요. https://youtu.be/PokK-WkAMko 본격적으로 잘 학습시키면 재미있는게 나올거 같습니다. 제가 하는 일이랑 레고시리어스플레이, 악당의 명언, 포니테일티셔츠 같은 주제를 뽑아내서 주제를 가지고 대화를 자연스럽게 하는 거 같습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83903.html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더 주면 재미있는 결과물을 내놓을거 같은데 오디오만 나오기 때문에 여러가지 작업을 해줘야합니다.  우선 번역 API로 프로그램을 작업해서 자막을 만들고 python 다시 배경, 오디오, srt를 자막으로 텍스트가 나오게 ffmpeg 으로 만들어서 동영상을 제작했습니다. https://argo9.com 에서 wordpress xml 을 변환한 문서로 학습
  • LEGO® SERIOUS PLAY®와 플라톤의 동굴

    legoseriousplay
    1
    0 투표
    1 게시물
    0 조회수
    A
    원본: 레고시리어스플레이 작성자: 최고관리자 날짜: 2025-07-04 01:21:44 담당자에게 판매 자료를 기반으로 메일 보낼 자료 자동분류 온라인 서점에 재고라든지 판매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로 이해하기 쉽게 문서를 먼저 보여주고 현재 어떤 상태이고 앞으로 진행하려는 이벤트에 대해서 안내하기 위해서 판매자 기본으로 데이터를 구분해서 작업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책이 300부 이상 있어서 담당자별로 메일을 보내고 다시 확인하고 진행하는 일이 빈번한데 작업단위별로 기록해둬야 다음에 어떤 일이 생길지 어떤 대응을 해야할지 일 자체를 프로그램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담당자가 잘 팔아주는지 알지 못하는 사이에 이벤트에 참여하고 있는 것인지 (담당자역량) 다 찾아냅니다.  [image: knDcU3bsJKL4pB9T64ZCsPPan9A] 그리고 그에 다른 성과나 매출에 대한 부분을 모두 정리중입니다. 간단한 기능들이지만 반복되는 일이고 매월 한 번씩은 이벤트에 대한 부분을 추적해서 어떤 서점이 잘 팔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이벤트에 의해 더 반응이 좋아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 책이 아닌 담당자의 역량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마케팅관련, 제작 책의 주기별 관리 등을 주먹구구식으로 처리하는 것을 보면서 계속 만들어야겠다 싶었는데 연휴에 조각맞추고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관리비용을 줄이는 것이고 책의 생명을 측정하는 것인데 특히 서평이라든지 데이터 기반이 되면 현실 데이터와 연결가능하리라 봅니다. 잡다한 프로그램을 그때그때 생각나는대로 만들고 있긴한데 웹에 공개할 것이 아니라서 특정 부분만 유료화? 해볼 생각입니다. 예를 들어 Yes24 - 파주, 대구 교보 - 온, 오프 및 97,88 분류 등 사람이 해도 되긴 하지만 실수가 생기면? 다 프로그램으로 처리하면 어떨까 합니다. 한달 사용료 1000원쯤 ? 하면 될까요? https://argo9.com 아르고나인 아르고나인 봄봄스쿨 출판사 www.argo9.com
  • 레고시리어스플레이 - Johari Window

    legoseriousplay
    1
    0 투표
    1 게시물
    0 조회수
    A
    레고시리어스플레이 퍼실리테이션의 목적은 참여자간의 진짜 이야기를 꺼낼 수 있게 한다는 것입니다. [image: c06a5fdf8426.jpg] �️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LSP)와 조해리 창의 연결 https://bookfactory.kr/topic/20199/%EC%98%A4%ED%94%88%EC%9B%8C%ED%81%AC%EC%83%B5-%EC%A4%80%EB%B9%84-%EC%A1%B0%ED%95%B4%EB%A6%AC-%EC%B0%BD-johari-window 오픈워크샵 준비 - 조해리 창 (Johari Window) 조해리 창 (Johari Window) **“나는 보이고, 남은 안 보이는 창”**을 심리학적으로 설명하는 대표적인 개념입니다. 조해리 창은 두 명의 미국 심리학자 **조셉 루프트(Joseph Luft)와 해리 잉햄(Harry Ingha https://bookfactory.kr/topic/20199/%EC%98%A4%ED%94%88%EC%9B%8C%ED%81%AC%EC%83%B5-%EC%A4%80%EB%B9%84-%EC%A1%B0%ED%95%B4%EB%A6%AC-%EC%B0%BD-johari-window �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LSP)의 핵심 목표: • 참가자들이 손을 움직이며 무의식적인 생각과 감정을 시각화 함. •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개념을 레고 모델을 통해 자연스럽게 공유 할 수 있도록 도움. • 그룹 내 신뢰를 구축하고, 팀원 간의 “숨겨진 영역(Hidden)“을 줄이며 “열린 영역(Open)“을 확장 하는 데 기여함. � 퍼실리테이션 워크숍 설계 예시 (조해리 창 & LSP 적용) � 목표: 조해리 창을 기반으로 참여자들이 자기 자신과 타인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도록 돕는 워크숍. � 단계 1: 자기 인식 확장 (개인 모델 빌드, Hidden 영역 축소) ✅ 질문: “나를 가장 잘 표현하는 레고 모델을 만들어보세요.” ✅ 활동: 각 참가자는 자신의 성격, 가치관, 강점, 고민을 표현하는 레고 모델을 만들고 설명 함. ✅ 조해리 창 연결: • “숨겨진 영역(Hidden Area)“이 점차 드러남 → 참가자가 스스로에 대해 말하면서 타인과 공유하는 정보가 증가. • 자신이 의식적으로 감추고 있던 감정, 생각들이 모델을 통해 표현될 수 있음. � 단계 2: 피드백을 통한 새로운 인식 (Blind 영역 축소) ✅ 질문: “팀원들이 당신을 표현한다면, 어떤 모델을 만들까요?” ✅ 활동: • 서로 돌아가며 다른 사람이 만든 모델에 대해 해석하고 피드백 제공. • 각 참가자는 자신이 몰랐던(Blind Area) 측면 에 대해 새롭게 인식할 수 있음. ✅ 조해리 창 연결: • “맹목의 영역(Blind Area)” 축소 → 타인의 피드백을 통해 자신이 인지하지 못했던 점을 깨닫게 됨. • 예: “나는 논리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팀원들은 나를 창의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하는구나!” � 단계 3: 집단 인식 확장 (Unknown 영역 탐색) ✅ 질문: “우리 팀의 미래를 나타내는 모델을 만들어보세요.” ✅ 활동: • 각 팀원들이 각자의 모델을 결합하여 팀의 방향성을 상징하는 구조물을 구축 함. • 예측할 수 없는 상황, 미지의 영역을 표현하며, 팀의 목표와 가치에 대해 탐색. ✅ 조해리 창 연결: • “미지의 영역(Unknown Area)” 탐색 → 새로운 시각과 창의적 아이디어가 공유됨. • 즉흥적으로 만들어지는 모델을 통해 참여자들이 인지하지 못했던 잠재력을 발견 할 수 있음. � 조해리 창 & LSP 퍼실리테이션 효과 ✅ “열린 영역(Open Area)” 확장: • 자신이 알고 있고, 남들도 아는 부분을 확대하여 조직 내 신뢰를 구축. ✅ “숨겨진 영역(Hidden Area)” 축소: • 참가자들이 부담 없이 감정을 표현하면서 내면의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꺼낼 수 있음. ✅ “맹목의 영역(Blind Area)” 축소: • 팀원 간 피드백을 통해 자신이 몰랐던 강점과 약점을 인식할 수 있음. ✅ “미지의 영역(Unknown Area)” 탐색: • 레고 모델을 통해 무의식적인 감정을 표출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음.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LSP)는 조해리 창 모델을 더 직관적이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강력한 퍼실리테이션 도구 입니다. • 사람들은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생각과 감정을 레고 모델을 통해 자연스럽게 공유 할 수 있습니다. • 팀워크와 신뢰를 구축하고, 자기 인식을 확장하는 데 최적의 방법 입니다. � 따라서 조해리 창을 활용한 **“LSP 퍼실리테이션”**은 심리적 안전감을 제공하면서도, 사람들이 진정한 이야기를 꺼낼 수 있도록 돕는 강력한 접근법이 될 수 있습니다. ��
  • 방송국 요청으로 만든 글자 나오는 미로찾기 퍼즐

    legoseriousplay
    1
    0 투표
    1 게시물
    0 조회수
    A
    원본: 레고시리어스플레이 작성자: 최고관리자 날짜: 2025-07-04 01:21:28 레고시리어스플레이 퍼실리테이션의 목적은 참여자간의 진짜 이야기를 꺼낼 수 있게 한다는 것입니다.  [image: RzO0KAxL2XgOfGGboRQynyi5uwM.jpg] �️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LSP)와 조해리 창의 연결 https://bookfactory.kr/topic/20199/%EC%98%A4%ED%94%88%EC%9B%8C%ED%81%AC%EC%83%B5-%EC%A4%80%EB%B9%84-%EC%A1%B0%ED%95%B4%EB%A6%AC-%EC%B0%BD-johari-window 오픈워크샵 준비 - 조해리 창 (Johari Window) 조해리 창 (Johari Window) **“나는 보이고, 남은 안 보이는 창”**을 심리학적으로 설명하는 대표적인 개념입니다. 조해리 창은 두 명의 미국 심리학자 **조셉 루프트(Joseph Luft)와 해리 잉햄(Harry Ingha bookfactory.kr   �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LSP)의 핵심 목표: • 참가자들이 손을 움직이며 무의식적인 생각과 감정을 시각화함. •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개념을 레고 모델을 통해 자연스럽게 공유할 수 있도록 도움. • 그룹 내 신뢰를 구축하고, 팀원 간의 “숨겨진 영역(Hidden)“을 줄이며 “열린 영역(Open)“을 확장하는 데 기여함. � 퍼실리테이션 워크숍 설계 예시 (조해리 창 & LSP 적용) � 목표: 조해리 창을 기반으로 참여자들이 자기 자신과 타인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도록 돕는 워크숍. � 단계 1: 자기 인식 확장 (개인 모델 빌드, Hidden 영역 축소) ✅ 질문: “나를 가장 잘 표현하는 레고 모델을 만들어보세요.” ✅ 활동: 각 참가자는 자신의 성격, 가치관, 강점, 고민을 표현하는 레고 모델을 만들고 설명함. ✅ 조해리 창 연결: • “숨겨진 영역(Hidden Area)“이 점차 드러남 → 참가자가 스스로에 대해 말하면서 타인과 공유하는 정보가 증가. • 자신이 의식적으로 감추고 있던 감정, 생각들이 모델을 통해 표현될 수 있음. � 단계 2: 피드백을 통한 새로운 인식 (Blind 영역 축소) ✅ 질문: “팀원들이 당신을 표현한다면, 어떤 모델을 만들까요?” ✅ 활동: • 서로 돌아가며 다른 사람이 만든 모델에 대해 해석하고 피드백 제공. • 각 참가자는 자신이 몰랐던(Blind Area) 측면에 대해 새롭게 인식할 수 있음. ✅ 조해리 창 연결: • “맹목의 영역(Blind Area)” 축소 → 타인의 피드백을 통해 자신이 인지하지 못했던 점을 깨닫게 됨. • 예: “나는 논리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팀원들은 나를 창의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하는구나!” � 단계 3: 집단 인식 확장 (Unknown 영역 탐색) ✅ 질문: “우리 팀의 미래를 나타내는 모델을 만들어보세요.” ✅ 활동: • 각 팀원들이 각자의 모델을 결합하여 팀의 방향성을 상징하는 구조물을 구축함. • 예측할 수 없는 상황, 미지의 영역을 표현하며, 팀의 목표와 가치에 대해 탐색. ✅ 조해리 창 연결: • “미지의 영역(Unknown Area)” 탐색 → 새로운 시각과 창의적 아이디어가 공유됨. • 즉흥적으로 만들어지는 모델을 통해 참여자들이 인지하지 못했던 잠재력을 발견할 수 있음. � 조해리 창 & LSP 퍼실리테이션 효과 ✅ “열린 영역(Open Area)” 확장: • 자신이 알고 있고, 남들도 아는 부분을 확대하여 조직 내 신뢰를 구축. ✅ “숨겨진 영역(Hidden Area)” 축소: • 참가자들이 부담 없이 감정을 표현하면서 내면의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꺼낼 수 있음. ✅ “맹목의 영역(Blind Area)” 축소: • 팀원 간 피드백을 통해 자신이 몰랐던 강점과 약점을 인식할 수 있음. ✅ “미지의 영역(Unknown Area)” 탐색: • 레고 모델을 통해 무의식적인 감정을 표출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음.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LSP)는 조해리 창 모델을 더 직관적이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강력한 퍼실리테이션 도구입니다. • 사람들은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생각과 감정을 레고 모델을 통해 자연스럽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 팀워크와 신뢰를 구축하고, 자기 인식을 확장하는 데 최적의 방법입니다. � 따라서 조해리 창을 활용한 **“LSP 퍼실리테이션”**은 심리적 안전감을 제공하면서도, 사람들이 진정한 이야기를 꺼낼 수 있도록 돕는 강력한 접근법이 될 수 있습니다. ��
  • 책공장 17년간의 기록 + 책 + 강의 + 인큐베이팅

    legoseriousplay
    1
    0 투표
    1 게시물
    0 조회수
    A
    제가 네이버 꿈꾸는 책공장이라는 카페를 알고 운영자가 된 지 벌써 17년이 되어 갑니다. 그 기록의 과정을 다시 한번 복기하면서 책으로 만들 생각입니다. 그게 종이책이나 전자책이 아닌 유튜브가 될 수 있습니다. 방향을 바꿔보면 출판사는 저자를 발굴하는 곳인데 이제 출판사 스스로가 유명해지는 시대가 되어가고 있어서 일단 저를 팔아보기로 했습니다. [image: image-7.png] 사실 제가 저희 출판사에서 가장 많은 책을 판 작가, 기획자라는게 늘 고민이지만 ^^ 2006.05.26. 개설 책공장에 글을 써놨던 게 4,785 개인데 그중에 시리즈가 1,400개 정도가 되어서 이제 좀 정리해서 책이나 3권 정도 나올 듯하네요. 출간했던 500여 권의 책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담을 생각이며 영수증 하나도 다 공개하겠다고 했던 이야기를 좀 진행할 생각입니다. 물론 요즘은 여러 곳에 올리지만 옛날 글들은 네이버 카페에만 올린게 많아 창업의 날 것같은 이야기도 많이 있습니다. 다 추억인데 조금 다른 형식으로 구성을 바꿀 생각입니다. 지금은 간단명료의 시대라서 나머지는 유튜브에서 주절거리면 될거고 ?!? 그리고 제가 단 댓글 632*15 = 9,480 , 댓글에 댓글 5,320 프로그램으로 모든 것을 분석하는 것과 함께 카페, 블로그 백업하는 프로그램도 함께 제작해서 분석했습니다. 제가 책공장에서 책을 쓰지 않았던 이유는 정리하는 순간 카페에서 책팔이 강의 팔이가 될 거 같아서 안 했으나 요즘 책공장에서 배워서 그 1권낸 경험을 SNS에서 유튜브에서 강의를 팔고 계시니 저도 한 번 글들을 요즘 시대에 맞춰 다 새로 써볼 생각입니다. 몇 년 간 놀았으니까 이제 마케팅 방법도 안 하던 전자책이나 모든 것을 제로에서부터 다시 시작할 예정입니다. 새로 창업하는 느낌으로 그리고 다른 출판사 인큐베이팅, 컨설팅도 해볼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 그런게 컨텐츠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새로운 플랫폼에도 도전하고 관련 프로그램도 해볼 예정이며 잘하던 것을 글로 정리해 놓을 예정입니다. 외부에 공개되는 학습채널이 필요하고 공유되는 정보를 조금 더 넓혀볼 생각입니다. https://bookfactory.kr
  • AI를 통해 시간을 얻는 연령대별 시간의 기술

    legoseriousplay
    1
    0 투표
    1 게시물
    0 조회수
    A
    AI를 통해 시간을 얻는 연령대별 시간의 기술 연령대별로 시간을 사용하는 방법과 AI 활용성, 그리고 연령별 업무에서 시간을 정리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연령별 시간 사용 방법 및 AI 활용성 1. 20대 시간 사용 방법: 학습과 자기계발에 집중합니다.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경력을 시작하며, 인맥을 형성하는 데 시간을 투자합니다. 다양한 경험을 쌓으며 자신의 관심사와 강점을 발견하는 시기입니다. AI 활용성: 학습 지원: AI 기반 학습 플랫폼(예: Coursera, Khan Academy)은 개인의 학습 스타일에 맞춘 맞춤형 커리큘럼을 제공합니다. 일정 관리: AI 비서(예: Google Assistant, Siri)는 일정 관리, 알림 설정, 학습 리소스 추천을 도와줍니다. 네트워킹: AI 기반 소셜 미디어 분석 도구는 관심사에 맞는 사람들과의 연결을 촉진합니다. 2. 30대 시간 사용 방법: 경력 개발과 가족 생활의 균형을 맞춥니다. 전문성을 키우고, 경제적 안정을 추구하는 데 집중합니다. "시간의 기술"에서 강조하듯, 자신의 시간을 최대한 비싸게 파는 데 노력해야 합니다. 즉, 자신의 가치를 높이고 소득을 늘리는 데 시간을 투자합니다. AI 활용성: 업무 자동화: AI 도구(예: Zapier, Microsoft Power Automate)는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하여 시간을 절약합니다. 가사 지원: 스마트 홈 시스템(예: Amazon Alexa, Google Nest)은 가사 활동을 관리하고,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합니다. 건강 관리: AI 기반 건강 앱은 운동 계획, 식단 관리, 수면 패턴 분석을 통해 건강을 유지합니다. 3. 40대 시간 사용 방법: 경력의 정점에 도달하거나 새로운 도전을 시작합니다. 자녀 양육, 가족 지원, 사회적 책임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시간의 기술"에서 조언하듯, 타인의 시간을 최대한 싸게 사는 데 노력해야 합니다. 축적한 자산을 활용하여 시간을 절약하고, 더 가치 있는 활동에 집중합니다. AI 활용성: 데이터 분석: AI 기반 분석 도구(예: Tableau, Power BI)는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분석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의사결정 지원: AI는 시장 트렌드 예측, 리스크 관리, 전략 수립을 도와줍니다. 건강 모니터링: 웨어러블 기기(예: Fitbit, Apple Watch)는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이상 징후를 감지합니다. 4. 50대 이상 시간 사용 방법: 은퇴 준비 또는 새로운 취미 생활을 시작합니다. 건강 관리, 여가 활동, 사회 기여에 집중합니다. "시간의 기술"에서 간접적으로 언급된 바와 같이, 타인의 시간을 '사는' 방식으로 한정된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합니다. 이는 개인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입니다. AI 활용성: 금융 계획: AI 기반 금융 어드바이저(예: Betterment, Wealthfront)는 개인의 재정 상황을 분석하여 최적의 투자 전략을 제안합니다. 여가 활동 추천: AI는 개인의 관심사와 과거 활동을 분석하여 맞춤형 취미 활동을 추천합니다. 건강 관리: AI 기반 의료 진단 도구는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의료 서비스를 연결합니다. 연령별 업무에서 시간 정리 방법 1. 20대 AI 활용 방법: 학습 계획 수립: AI는 학습 목표와 현재 수준을 분석하여 최적의 학습 경로를 제안합니다. 시간 관리: AI 비서는 일일, 주간, 월간 일정을 관리하고, 학습과 휴식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리소스 활용: AI는 필요한 학습 자료를 자동으로 정리하고, 접근성을 높입니다. 목표: 자기계발과 학습에 집중하며, 효율적으로 시간을 관리하여 미래의 기반을 마련합니다. 2. 30대 AI 활용 방법: 업무 자동화: AI는 이메일 필터링, 문서 정리, 데이터 입력 등의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합니다. 가사 관리: 스마트 홈 시스템은 가사 일정을 관리하고,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주문하거나 서비스를 예약합니다. 건강 관리: AI는 운동과 식단을 추적하고, 필요한 조언을 제공합니다. 목표: 경력 개발과 가족 생활의 균형을 맞추며, 자신의 시간을 최대한 비싸게 파는 데 집중합니다. 3. 40대 AI 활용 방법: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AI는 업무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의사결정 시간을 단축합니다. 건강 관리: 웨어러블 기기는 업무 중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휴식을 권장합니다. 가족 지원: AI는 가족 일정을 조정하고, 필요한 지원을 제공합니다. 목표: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타인의 시간을 활용하여 더 가치 있는 활동에 집중합니다. 4. 50대 이상 AI 활용 방법: 금융 관리: AI는 재정 상태를 분석하고, 은퇴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여가 활동 관리: AI는 취미 활동 일정을 관리하고, 필요한 리소스를 제공합니다. 건강 관리: AI는 건강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계획을 수립합니다. 목표: 한정된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개인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입니다. 타인의 시간을 '사는' 전략을 통해 여가 활동, 건강 관리, 사회 기여에 집중합니다. 결론 AI는 연령에 관계없이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각 연령대에 맞는 AI 활용 방법을 통해 개인은 자신의 목표를 더 쉽게 달성할 수 있습니다. 20대는 학습과 자기계발에 집중하며, AI를 통해 효율적인 계획 수립과 리소스 활용을 실현합니다. 30대는 경력 개발과 가족 생활의 균형을 맞추며, AI를 통해 업무와 가사를 자동화합니다. 40대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과 건강 관리에 집중하며, AI를 통해 시간을 절약하고 더 가치 있는 활동에 투자합니다. 50대 이상은 한정된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AI를 통해 금융 계획, 여가 활동, 건강 관리에 집중합니다. "시간의 기술"에서 강조하듯, 시간 관리는 단순히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적인 문제가 아니라, 개인의 가치관과 삶의 목적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AI를 활용한 시간 관리는 단순히 시간을 절약하는 것을 넘어, 가치 있는 활동에 집중할 수 있게 해줍니다 https://bookfactory.kr/topic/20525/ AI를 통해 시간을 얻는 연령대별 시간의 기술 AI를 통해 시간을 얻는 연령대별 시간의 기술 연령대별로 시간을 사용하는 방법과 AI 활용성, 그리고 연령별 업무에서 시간을 정리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연령별 시간 사용 방법 및 AI 활용성 1. https://bookfactory.kr/topic/20525/ai%EB%A5%BC-%ED%86%B5%ED%95%B4-%EC%8B%9C%EA%B0%84%EC%9D%84-%EC%96%BB%EB%8A%94-%EC%97%B0%EB%A0%B9%EB%8C%80%EB%B3%84-%EC%8B%9C%EA%B0%84%EC%9D%98-%EA%B8%B0%EC%88%A0/1
  • KPIPA 출판산업 동향 (2024년 상반기) 분석

    legoseriousplay
    1
    0 투표
    1 게시물
    1 조회수
    A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KPIPA)에서 발행한 "KPIPA 출판산업 동향_2024년 상반기" 보고서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국내 출판산업의 주요 동향과 통계를 분석합니다. 생산, 유통, 소비, 경기 동향 등 다양한 측면을 살펴보고, 주요 출판 분야별 판매 동향과 함께 온라인/오프라인 판매 채널 변화, 도서 정가 변화, 서점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출판산업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https://www.kpipa.or.kr/p/g3_1/138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KPIPA 출판산업 동향 (2024년 상반기) > 조사연구보고서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대표 누리집 https://www.kpipa.or.kr/p/g3_1/138 1. 주요 테마 및 핵심 아이디어: 출판산업 경기 부진 지속, 회복 전망: 2024년 상반기 경기동향지수는 85로 "출판산업 경기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남". 2025년 상반기 전망은 90, 92로 소폭 상승 예상되지만, 여전히 "경기가 계속해서 부진할 것으로 전망됨". "을 기준으로 이하 매우 부진 부진 호조 이상 매우 호조 100 84 / 85~94 / 95~104 / 105 ". 수출입 호조, 내수 부진: 2024년 상반기 경기동향지수 부문별 분석 결과, "수출입이 98점(호조)으로 가장 높게 나타남" 반면, "경기 부분이 67점(매우 부진)으로 가장 낮게 나옴". "출판인쇄물(도서)은 수출액이 수입액을 앞서는 흑자 기조를 유지"하며, 2024년 상반기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9.8% 증가, 수입액은 16.4% 감소. 온라인 유통 강세 지속: 대체로 모든 출판사 매출 규모에서 "온라인 유통 경기가 오프라인 유통 경기보다 더 좋을 것으로 응답". 마케팅/홍보 또한 "모든 매출액 구간에서 온라인 경기지수가 오프라인 경기지수보다 높게 나타남". 교육 분야 도서 판매 강세, 수능 특강 영향력 확대: 2024년 상반기 판매 데이터 분석 결과, "EBS 수능특강을 필두로 한 어린이 청소년 학습 분야 도서가 46종으로 가장 많았고". "EBS 표제어가 들어간 책이 무려 21종이나 되었다. 이는 3월 학기의 영향력이 반영되는 지난해 3분기의 15종보다 5종이나 더 증가한 것". 이러한 현상은 "교육출판에 편향된 한국 출판시장의 특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분석됨. 소규모 출판사 어려움 지속, 발행 종수 감소 추세: "발행종수가 1~5종 이하의 소규모인 출판사 비중은 78.1%로 전년 동기보다 감소함(0.1%p)". 2023년 신간도서 발행종수는 79,416종으로 "전년 대비 1.5%(1,186종) 감소". 무실적 출판사 수는 증가 추세, 2023년 기준 70,451개사로 전체 출판사 수의 88.5% 차지. 도서 정가 인상 추세: 2023년 도서 분야별 정가 변경 비율 분석 결과,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정가 변경 비율이 높게 나타남". 출판 유형별 양극화 심화: "수능 학습서와 어학서를 제외한 일반도서 베스트셀러 목록은 과거에 인기를 얻었던 구간 도서(이른바 역주행 도서), 오랜 기간 인기를 누리는 스테디셀러가 중심으로 새로운 타이틀의 등장이 눈에 띄지 않는다는 특징이 발견된다." 2. 주요 통계 및 데이터: 판매 데이터: 2024년 상반기 총 5,344만 부 판매, 7,234억 원 매출 발생. 1분기 일평균 4,179만 부, 51억 원 매출, 2분기 일평균 2,219만 부, 43억 원 매출. 3월 판매량이 가장 높았고(1,792억 원), 6월 판매량 감소가 두드러짐(1,262억 원). 발행 통계: 2023년 신간 도서 발행 종수: 79,416종. 교육 분야 도서 구성비 가장 높음(20.9%), 문학 분야 증가(20.1%). 유아동 분야 도서 전년 대비 증가폭 가장 큼(24.6%, 1,786종). 경기 동향 지수: 2024년 상반기 전체 85점, 2025년 상반기 92점 (100점 기준, 높을수록 경기 호전). 매출 규모별 차이: 50억 원 이상 출판사는 호조 전망, 50억 원 미만은 부진 전망. 서점 현황: 2022년 전국 지역 서점 수: 2,716개. 서울, 경기 지역에 집중 (각각 19.6%, 17.2%). 50% 이상이 20평 이하의 소형 서점. 3. 주요 인용구: "출판산업 경기동향지수는 85점으로 출판산업 경기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남." "년 상반기 경기동향지수를 살펴보면 경기 부분이 67점(매우 부진)으로 가장 낮게 나왔고 수출입이 98점(호조)으로 가장 높게 나타남." "출판인쇄물(도서)은 수출액이 수입액을 앞서는 흑자 기조를 유지" "EBS 수능특강을 필두로 한 어린이 청소년 학습 분야 도서가 46종으로 가장 많았고" "발행종수가 1~5종 이하의 소규모인 출판사 비중은 78.1%로 전년 동기보다 감소함(0.1%p)" "교육출판에 편향된 한국 출판시장의 특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4. 결론 및 시사점: 2024년 상반기 국내 출판산업은 전반적인 경기 부진 속에서도 수출 호조, 온라인 유통 강세 등의 긍정적인 요인이 존재합니다. 교육 분야, 특히 수능 관련 학습서의 판매 강세는 시장의 특정 분야 쏠림 현상을 보여주며, 이는 일반 도서 시장의 활력 저하와 함께 출판 시장의 양극화 심화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소규모 출판사의 어려움 지속, 도서 정가 인상 추세는 소비자의 도서 구매 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출판 산업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5. 향후 과제: 출판 산업 전반의 경기 활성화를 위한 정부 및 업계의 다각적인 노력 필요. 온라인 유통 채널 경쟁력 강화 및 새로운 마케팅 전략 개발. 일반 도서 시장의 활력 회복 및 다양한 콘텐츠 개발 노력. 소규모 출판사 지원 정책 강화 및 출판 생태계 다양성 확보. 독서 문화 진흥을 위한 장기적인 투자 및 지원 확대. 본 보고서가 출판산업 관계자들에게 유용한 정보와 통찰력을 제공하고, 향후 출판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2024년: 상반기: 출판유통통합전산망 판매 데이터 분석 결과, 5,344만 부의 도서 판매, 7,234억 원의 매출 발생. 1분기 일평균 7만 종, 51억 5,799만 원, 2분기 일평균 7만 종, 43억 5,763만 원 매출 발생. 신학기 도서 수요로 3월 판매량 가장 높음. 도서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9.8% 증가, 수입액은 16.4% 감소. 무역 흑자폭은 전년 동기 대비 커짐. 출판산업 경기동향지수 85로 경기 부진. 수출입 부문은 98점으로 호조, 경기 부문은 67점으로 매우 부진. 출판사 대상 경기동향 조사 실시 (KPIPA). 주요 판매 분야: 어린이/청소년 학습, 사회과학, 경제/경영. 수능특강을 필두로 한 어린이 청소년 학습 분야 도서가 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소설 연관 상품 하반기: 경기 동향지수 90으로 소폭 상승 예상. 2025년 (상반기 전망): 경기 동향지수 92로 소폭 상승 전망. 경기, 기획, 생산, 유통 부문에서 소폭 상승 예상. 50억 원 이상 출판사는 경기 호조, 50억 원 미만 출판사는 경기 부진 지속 전망. 수출입 부문 호조 지속 전망. 고용 경기는 호조 지속 전망, 다만 학술 및 전문서 출판사는 고용 부진 지속 전망. 온라인 유통 경기가 오프라인 유통 경기보다 좋을 것으로 전망. 전자출판 경기 호조 전망.
  • 버크셔 해서웨이 2024 주주 서한 FAQ

    legoseriousplay
    1
    0 투표
    1 게시물
    0 조회수
    A
    버크셔 해서웨이 2024 주주 서한 FAQ 1. 버크셔 해서웨이는 주주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보고하려고 하나요? 버크셔 해서웨이는 단순히 법적으로 요구되는 사실과 수치를 보고하는 것뿐만 아니라, 회사가 소유한 것과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추가적인 논평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는 버크셔의 CEO가 주주의 저축을 맡아 운용한다고 가정하고, 주주가 CEO에게 기대하는 방식으로 소통하려는 것입니다. 긍정적인 발전과 부정적인 발전을 모두 솔직하게 공유하며, 문제점을 지적할 때는 개별 인물을 비난하기보다는 범주별로 비판하려고 노력합니다. 2. 워렌 버핏은 버크셔 해서웨이에서 어떤 종류의 실수를 인정하고 있나요? 워렌 버핏은 자본 배분 실패와 인적 자원 평가 실패를 주요 실수로 인정합니다. 자본 배분 실패는 시장성 있는 주식 투자와 100% 자회사 인수를 통해 발생할 수 있으며, 미래 경제성을 잘못 평가한 결과입니다. 인적 자원 평가 실패는 채용한 관리자의 능력이나 성실성을 잘못 판단한 경우를 의미하며, 특히 성실성 문제는 재정적 영향 이상으로 고통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는 실수를 즉시 시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3. 버크셔 해서웨이가 세금을 납부하는 방식과 그 중요성은 무엇인가요? 버크셔 해서웨이는 2024년에만 미국 국세청(IRS)에 268억 달러를 납부했으며, 이는 미국 전체 기업 소득세의 약 5%에 해당합니다. 이는 1965년 소득세를 거의 내지 못했던 과거와 비교하면 놀라운 변화입니다. 이러한 막대한 세금 납부는 60년 동안 주주들이 배당금을 포기하고 이익을 재투자한 결과이며, 장기적인 복리 효과와 지속적인 저축 문화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4. 버크셔 해서웨이는 투자 대상을 선택할 때 어떤 요소를 고려하나요? 버크셔 해서웨이는 기업 전체를 인수하거나 소량의 지분 투자를 통해 주식 투자를 진행하며, 투자 결정은 자본을 가장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곳에 따라 달라집니다. 뛰어난 기업은 전체 매물로 나오는 경우가 드물지만, 월스트리트에서 소량의 지분을 저렴한 가격에 매수할 수 있습니다. 경영진 평가 시 학벌은 전혀 고려하지 않으며, 타고난 사업적 재능을 중시합니다. 5. 버크셔 해서웨이가 소유한 자산의 구성은 어떻게 되며, 현금 보유량에 대한 입장은 무엇인가요? 버크셔 해서웨이는 대부분의 자산을 주식에 투자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주식이 주를 이루지만 해외 사업도 상당 부분 포함됩니다. 시장성 있는 주식의 가치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비상장 자회사의 가치는 증가하여 여전히 시장성 있는 포트폴리오보다 훨씬 큽니다. 버크셔는 현금과 같은 자산보다 좋은 사업체를 소유하는 것을 선호하며, 현금 가치가 통화 불안정으로 인해 증발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합니다. 6. 워렌 버핏은 프로퍼티-캐주얼티(P/C) 보험 사업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고 있나요? P/C 보험은 버크셔 해서웨이의 핵심 사업이며, 선불로 보험료를 받고 나중에 손실 비용을 지불하는 독특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회사가 손실을 인지하기 전에 많은 돈을 잃을 위험이 있지만, 동시에 투자할 수 있는 대규모 자금을 제공합니다. 버크셔는 이러한 위험을 감수하고 극단적인 손실을 감당할 수 있는 재정적, 심리적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재보험사에 의존하지 않아 비용 면에서 유리합니다. 또한 Ajit Jain의 리더십 하에 보험 사업이 크게 성장했습니다. 7. 버크셔 해서웨이가 일본 기업에 투자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투자 전략은 무엇인가요? 버크셔 해서웨이는 일본의 5개 기업(ITOCHU, Marubeni, Mitsubishi, Mitsui, Sumitomo)에 투자하고 있으며, 이는 버크셔와 유사하게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다양한 사업에 지분을 소유하고 있으며, 버크셔는 이들의 자본 배치, 경영진, 투자자에 대한 태도를 높이 평가합니다. 버크셔는 이들 기업에 장기적인 투자를 유지하고 있으며, 엔화 표시 부채를 늘려 환율 중립적인 포지션을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 8. 2025년 버크셔 해서웨이 연례 회의에서 무엇을 기대할 수 있나요? 2025년 연례 회의는 5월 3일 오마하에서 개최되며, 참석자들은 다양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얻고, 친구를 만나고, 오마하에 대한 좋은 인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작년에는 "Poor Charlie's Almanack"가 판매되었고, 올해는 "60 Years of Berkshire Hathaway"라는 책이 판매될 예정입니다. Becky Quick이 회의를 중계하며, 워렌 버핏, Greg Abel, Ajit Jain이 질문에 답변할 예정입니다. 표를 사용한 요약 항목 세부 사항 운영 수익 (2024) $47.4억 달러, 53% 사업 수익 감소 세금 납부 (2024) $26.8억 달러, 미국 기업 총액 5% 주식 보유 가치 $272억 달러, 애플 등 포함 일본 투자 비용 $13.8억, 시장 가치 $23.5억, 배당 $8.12억 예상 (2025) 보험 플로트 $46억에서 $171억으로 성장 CEO 후임 그렉 에이블, 투명 보고 강조 연례 회의 날짜 2025년 5월 3일, 오마하
  • PDF+TTS로 책소개 영상을 자동으로 제작하기

    legoseriousplay
    1
    0 투표
    1 게시물
    0 조회수
    A
    원본: 레고시리어스플레이 작성자: 최고관리자 날짜: 2025-07-04 01:20:03 제가 네이버 꿈꾸는 책공장이라는 카페를 알고 운영자가 된 지 벌써 17년이 되어 갑니다. 그 기록의 과정을 다시 한번 복기하면서 책으로 만들 생각입니다. 그게 종이책이나 전자책이 아닌 유튜브가 될 수 있습니다. 방향을 바꿔보면 출판사는 저자를 발굴하는 곳인데 이제 출판사 스스로가 유명해지는 시대가 되어가고 있어서 일단 저를 팔아보기로 했습니다. [image: 6o9RqUvzcBJbcVWpR776zmzAlbk.png] 사실 제가 저희 출판사에서 가장 많은 책을 판 작가, 기획자라는게 늘 고민이지만 ^^ 2006.05.26. 개설 책공장에 글을 써놨던 게 4,785 개인데 그중에 시리즈가 1,400개 정도가 되어서 이제 좀 정리해서 책이나 3권 정도 나올 듯하네요. 출간했던 500여 권의 책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담을 생각이며 영수증 하나도 다 공개하겠다고 했던 이야기를 좀 진행할 생각입니다. 물론 요즘은 여러 곳에 올리지만 옛날 글들은 네이버 카페에만 올린게 많아 창업의 날 것같은 이야기도 많이 있습니다. 다 추억인데 조금 다른 형식으로 구성을 바꿀 생각입니다. 지금은 간단명료의 시대라서 나머지는 유튜브에서 주절거리면 될거고 ?!? 그리고 제가 단 댓글 632*15 = 9,480 , 댓글에 댓글 5,320 프로그램으로 모든 것을 분석하는 것과 함께 카페, 블로그 백업하는 프로그램도 함께 제작해서 분석했습니다. 제가 책공장에서 책을 쓰지 않았던 이유는 정리하는 순간 카페에서 책팔이 강의 팔이가 될 거 같아서 안 했으나 요즘 책공장에서 배워서 그 1권낸 경험을 SNS에서 유튜브에서 강의를 팔고 계시니 저도 한 번 글들을 요즘 시대에 맞춰 다 새로 써볼 생각입니다. 몇 년 간 놀았으니까 이제 마케팅 방법도 안 하던 전자책이나 모든 것을 제로에서부터 다시 시작할 예정입니다. 새로 창업하는 느낌으로 그리고 다른 출판사 인큐베이팅, 컨설팅도 해볼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 그런게 컨텐츠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새로운 플랫폼에도 도전하고 관련 프로그램도 해볼 예정이며 잘하던 것을 글로 정리해 놓을 예정입니다. 외부에 공개되는 학습채널이 필요하고 공유되는 정보를 조금 더 넓혀볼 생각입니다. https://bookfactory.kr/ 책공장 + 레고시리어스플레이 책공장 한 권의 책 출판 강사 저자 커뮤니티 bookfactory.kr LLM에 앞으로 제가 쓴 댓글을 다 넣어볼 예정입니다.
  • 어느덧 12년 차 레고시리어스플레이 퍼실리테이터

    legoseriousplay
    1
    0 투표
    1 게시물
    0 조회수
    A
    원본: 레고시리어스플레이 작성자: 최고관리자 날짜: 2025-07-04 01:19:05 2013년 레고시리어스플레이라는 새로운 분야에 들어간 것은 물음표에서 시작되었다. 그 물음표는 국내의 디자인싱킹 관련, 생각정리 관련 국내외 도서를 다 모은 나에게 하나의 궁금증에서 비롯되었고 그 단서가 되는 단어가 바로 레고 시리어스플레이였다. 당시 생각정리에 관련된 책을 시리즈로 출간하던 시기였고 관련된 책들을 계속 보던 시기에 하나의 교집합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레고로 성인들이 진짜 이야기를 한다는 내용인데 국내에서는 이러한 워크숍을 하는 곳도 관련된 전문가도 없었다는 사실이었고 알고 싶다는 그 호기심 하나로 가능한 과정을 찾고 결국 가까운 일본에서 하는 일정보다 미국에서 진행하는 일정이 더 빨라 회사 일보다 일단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떠났다. [image: __Fm8BKZi53iyDNEA9co3bNvOBg.jpg] 현대 글로벌 CS세미나에 메인테마로 레고시리어스플레이 워크숍을 진행했었던 추억 https://topclass.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3110 손호성・박준 레고시리어스플레이 퍼실리에이터 - 톱클래스 레고는 어린 시절 우리의 로망이었다. 생일 날 최고의 선물이었고, 더 큰 레고를 가지고 있는 친구는 부러움의 대상이었다. 지금도 레고를 보면 왠지 설렌다. 그런 레고가 다시 내 삶에 들어왔다 topclass.chosun.com   함께할 동료와 함께 미국으로 가서 배우고 일본에서도 당시 메이크카페에 담당자와 만나서 한국에서 라이선스를 할 수 있는지를 묻고 사장 및 임원과 함께 몇 차례 방문하기도 했다. 결국 레고 + 메이크 카페를 홍대에서 시작하게 된 계기이기도 하다. [image: PlXOYpq-kvMhKGy38H4QXhPXKvc.jpg] 레고시리어스플레이는 오픈소스로 풀렸지만 이 자료는 아무것도 알 수 없는 선문답 같은 문서일 뿐 실제로 참여해야만 가능하다. 개발당시 IMD와 MIT에서 다양한 철학과 이론 그리고 방법론으로서 충실하게 기틀을 쌓았지만 기업에서는 그다지 관심이 없었다. 레고는 어린이들의 장난감에 불과하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을 뛰어넘기가 어려웠고 그 한계를 넘어서는 계기는 바로 NASA의 커뮤니케이션과 문재해결을 위한 솔루션으로 채용된 이후였다. [image: beNvvf8DieQCWeosPZzZyGxErnw.JPG] 리닝포워드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는 회의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이 집중하는 몸동작을 만들게 된다. 당시 레고 테크닉 개발 담당자이자 레고시 리어플레이를 만들고 북미 담당자였던 로버트 라스무센이 NASA 콜롬비아호 폭발사건 이후 각 부서별 회의의 방법론을 찾고 리뷰를 했는데 6시간 남기고 더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론으로 레고시리어스플레이가 선택된 이후 그 후임인 뻬르 크리스티안센과 레고 시리어스플레이와 관련된 교육회사와 인증사업을 하기 시작했고 퍼실리테이션 과정을 통해 인연이 되어 두 사람의 공저인  [image: VH8eIPyKO7JG_nxz_ULLt5zrNY0] 레고시리어스플레이 방법론에 관련된 책을 출간하기도 하였다. 어찌 됐건 보스턴에서 4일간 레고만 만지고 교육받던 시기에 다양한 사람들과 레고시리어스플레이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최종 테스트까지 진행한 이후 레고시리어스플레이 키트를 엄청난 양을 구매해서 fedex로 보내고 (당시 구하려야 구할 수 없었던 키트고 10년이 지나서 국내에서 구매가 가능하나 한정된 수량 외에는 구매가 불가) 미국에서 스탠퍼드대학 D.school 에서 디자인싱킹 관련 워크숍,  일본에 메이크 카페 운영에 관련된 인터뷰 등 가장 정신없던 일정을 마치고 한국에서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 오픈워크숍을 진행한 이후로 어느덧 13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거 같다. 빠르게 달려왔지만 그 사이 삼성, LG, 현대, 롯데 등 대기업과 스타트업, 진흥원 등 수많은 곳에서 워크숍과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기업과 만들고 진행하였는데 그중 인상 깊은 워크숍은 사실 현대자동차 글로벌 CS 세미나가 아니었을까 한다. [image: 0W5-t6Fji7MA8vFRXWmm9IhuMUI.jpg] 60여 명의 인원을 6 테이블로 나눠 퍼실리테이터가 각기 참여하고 다시 전체 진행을 하고 워크숍에 설계에서 진행과정까지 당시에는 하기 힘들었던 내부 방송까지 함께 동시에 큰 무리 없이(?) 진행을 하고 좋은 평가를 받았던 기억이 난다. 함께 진행했던 퍼실리테이션은 국내에서 교육받았던 사람들을 모아서 며칠간 함께 교육을 하고 실제 워크숍에 투입되었지만 협업과정 또한 재미있었는데 몇 차례 팀을 이뤄 큰 워크숍을 진행하기도 하였으나 코로나 이후 큰 행사들을 많이 하지 않았고 그 사이에 대부분 회사 임원이 되거나 이미 대표인 친구들이 많아져서 각자의 스케줄 조정이 힘들어 이번에 퍼실리테이터를 양성하는 과정을 만들 준비를 다시 하고 있다. 이 전에도 했긴 했지만 전체 T3과정을 하는 것보다는 마스터 퍼실리테이터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한국에 맞는 구성으로 준비 중이다. 책이 먼저 그다음은 교육과정이 될듯하다. 지난 10년의 경험과 국내에 없었던 일을 다시 비즈니스로 만든 이야기가 어떨지는 모르지만 오늘 레고박스를 수레에 가득 싣고 워크숍을 향하는 새벽에 주마등같이 떠오르는 과거의 기억의 단상을 적어본다. [image: --xLUPLfhPj39Bd2blzBA4sBv2g.JPG] 사실 진짜 이야기는 이제부터일지도 모른다. AI와 데이터기반 경영 시뮬레이션 오픈워크숍도 진행할 계획이라서 그리고 사무실의 모든 집기를 다 들어내고 큰 탁자 하나에 영상 촬영기기만 남길 예정이다. 영상과정을 만들 생각이라서 곧 다른 방식의 책(영상, 콘텐츠 제작 방법론) 만드는 과정을 보게 될 것이다. 이제 남의 책을 20년간 냈으니 내 경험을 나누는 책을 쓸 차례다. https://argo9.com 아르고나인 스튜디오 www.argo9.com  [image: VVy29u-OXXXfJvor06KVKEAd1wE.jpg]국내 임원들을 위한 레고시리어스플레이
  • 어도비 익스프레스 - 레고시리어스플레이 오픈소스 문서

    legoseriousplay
    1
    0 투표
    1 게시물
    0 조회수
    A
    번역도 PDF편집도 쉽게 레고시리어스플레이 오픈소스 문서는 10년이 지난 문서가 되었습니다. 제가 이 문서를 보고 레고시리어스플레이 자격증을 따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는데... [image: bL4MTXGGgos5eiCcSevK14tOL-E.png] 뭔 문서가 뜬구름 잡는 소리밖에 없어서 직접 가서 듣기로 했습니다. [image: ba9xzlqb9Ua_SSo9R4-ED_rGYsI.png] 그건 그렇고 어도비 익스프레스의 기능을 활용하는데 잠깐 사용해 보려고 했습니다. PDF를 가져와서 번역을 하거나 문장을 특정 톤으로 유지한다거나 다양한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일단 번역은... 약간 모자랍니다. 다시 수정해야하지만 어차피 일정 부분은 윤문이나 교정을 봐야하기 때문에 전체를 이해한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현재 펼침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뉴스나 영상으로 작업을 한다면 어느정도 편집이 필요하기 때문에 큰 문제없습니다. 게다가 사진이나 선, 면 등이 오브젝트로 레이아웃 위에 올라와 있기때문에 편집이 쉽습니다. 즉 원본이 없어도 원본에 해당하는 이미지도 투명화 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카드뉴스를 만든다거나 다른 변환작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생깁니다. 이게 왜 중요하냐면 외서 번역하는 출판사에게는 리소스를 활용하기가 쉽지 않아요. 초기에 PDF로 원고를 보내주는데 어도비익스프레스는 이 것을 훌륭한 리소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번역물은 다시 PDF로 생성할 수 있고 오디오를 넣어 영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저희 소스를 안쓰고 타회사 소스를 쓴 이유는 문서가 공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절대 남의 사진이나 데이터를 이용해서 홍보물을 만드거나 할 생각은 없습니다. 레고시리어스플레이 오픈워크샵도 해야겠지만 ^^ https://bookfactory.kr/topic/22012/오픈소스-레고시리어스플리에-오픈워크샵을-준비합니다.
  • AI 지식의 다이소가 되려는 출판사

    legoseriousplay
    1
    0 투표
    1 게시물
    0 조회수
    A
    원본: 레고시리어스플레이 작성자: 최고관리자 날짜: 2025-07-04 01:15:12 레고시리어스플레이 오픈소스 문서는 10년이 지난 문서가 되었습니다. 제가 이 문서를 보고 레고시리어스플레이 자격증을 따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는데... [image: bL4MTXGGgos5eiCcSevK14tOL-E.png] 뭔 문서가 뜬구름 잡는 소리밖에 없어서 직접 가서 듣기로 했습니다. [image: ba9xzlqb9Ua_SSo9R4-ED_rGYsI.png] 그건 그렇고 어도비 익스프레스의 기능을 활용하는데 잠깐 사용해 보려고 했습니다. PDF를 가져와서 번역을 하거나 문장을 특정 톤으로 유지한다거나 다양한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일단 번역은... 약간 모자랍니다. 다시 수정해야하지만 어차피 일정 부분은 윤문이나 교정을 봐야하기 때문에 전체를 이해한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현재 펼침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뉴스나 영상으로 작업을 한다면 어느정도 편집이 필요하기 때문에 큰 문제없습니다. 게다가 사진이나 선, 면 등이 오브젝트로 레이아웃 위에 올라와 있기때문에 편집이 쉽습니다. 즉 원본이 없어도 원본에 해당하는 이미지도 투명화 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카드뉴스를 만든다거나 다른 변환작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생깁니다. 이게 왜 중요하냐면 외서 번역하는 출판사에게는 리소스를 활용하기가 쉽지 않아요. 초기에 PDF로 원고를 보내주는데 어도비익스프레스는 이 것을 훌륭한 리소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번역물은 다시 PDF로 생성할 수 있고 오디오를 넣어 영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저희 소스를 안쓰고 타회사 소스를 쓴 이유는 문서가 공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절대 남의 사진이나 데이터를 이용해서 홍보물을 만드거나 할 생각은 없습니다. 레고시리어스플레이 오픈워크샵도 해야겠지만 ^^ https://bookfactory.kr/topic/22012/%EC%98%A4%ED%94%88%EC%86%8C%EC%8A%A4-%EB%A0%88%EA%B3%A0%EC%8B%9C%EB%A6%AC%EC%96%B4%EC%8A%A4%ED%94%8C%EB%A6%AC%EC%97%90-%EC%98%A4%ED%94%88%EC%9B%8C%ED%81%AC%EC%83%B5%EC%9D%84-%EC%A4%80%EB%B9%84%ED%95%A9%EB%8B%88%EB%8B%A4.
  • 사업은 모래성을 쌓는 일

    legoseriousplay
    1
    0 투표
    1 게시물
    0 조회수
    A
    원본: 레고시리어스플레이 작성자: 관리자 날짜: 2011-06-26 22:47:30 밑그림 없이 레고를 쌓기부터 하면 레고를 다시 띁어서 조립하는데 시간낭비한다. 사업의 방향을 정하고 비지니스모델을 만들고 다시 세부 기획을 한 다음에 시장상황에 맞춰 다시 수정한다. 일의 실천도 중요하지만 실천하는 과정에서 정보를 얻고 계속 고쳐나가야한다. 사업은 정해진 설계도로 동일한 모델을 만드는 조립형 완구가 아니라 시기에 따라 창조하는 모래성 같은 존재이며 내가 무너트릴지 스스로 무너질지 외부에서 무너트릴 지 모르는 일이다. 이상적으로 높게 쌓을 수 있는 것은 가능하지만 가만히 놔두면 몇일 가진 않는다. 계속 만지고 수정하고 죽기 전에 다음 사람에게 그 일을 전해야한다.
  • LEGO® SERIOUS PLAY®(LSP) SCARF

    legoseriousplay
    1
    0 투표
    1 게시물
    0 조회수
    A
    LEGO® SERIOUS PLAY®(LSP)는 SCARF(상태, 고립감, 공정성, 예측 가능성, 자율성) 모델의 요소들을 지원하여 조직 내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LSP는 구성원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심리적 안정감(상태, 고립감 해소)을 높이고, 공정한 발언 기회를 제공하며(공정성), 미래 예측을 위한 전략적 사고를 촉진합니다(예측 가능성, 자율성). LSP가 SCARF 모델을 지원하는 방식: [image: 55822cf72512.jpg] 상태 (Status): LSP 워크숍에서는 모든 참여자가 자신의 모델을 만들고 설명하는 과정을 통해 존중받고 가치 있다고 느끼게 됩니다. 이는 구성원들의 자존감을 높이고, 심리적 안정감을 형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고립감 (Loss): LSP의 핵심은 집단 토론과 공유입니다. 모델을 만들고 설명하는 과정을 통해 서로의 생각을 이해하고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고립감을 해소하고, 공동체 의식을 강화합니다. 공정성 (Fairness): LSP 워크숍은 모든 참여자가 동일한 레고 블록을 사용하며,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는 차별 없이 공정하게 의견을 제시하고 반영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공정성에 대한 인식을 높입니다. 예측 가능성 (Certainty): LSP는 복잡한 문제를 모델로 시각화하고 분석함으로써 미래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입니다. 문제 해결 과정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다양한 시나리오를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예측 불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을 줄여줍니다. 자율성 (Autonomy): LSP는 참여자들이 자신의 모델을 만들고, 설명하며, 다른 사람의 모델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을 통해 자율성을 증진시킵니다. 스스로 문제 해결에 참여하고, 아이디어를 제시하며,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을 통해 자율성을 키울 수 있습니다. LSP를 활용한 SCARF 모델 적용 예시: 팀 빌딩: 팀원들이 각자 팀의 강점과 약점을 레고 모델로 표현하고, 이를 통해 팀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미래 목표를 설정합니다. 전략 수립: 새로운 사업 아이템이나 전략을 구상할 때, 팀원들이 각자의 아이디어를 레고 모델로 표현하고 공유함으로써,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고 더 나은 전략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갈등 해결: 팀 내 갈등 상황을 레고 모델로 표현하고, 각자의 입장을 설명함으로써 갈등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모색합니다. 변화 관리: 조직 변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저항이나 불안감을 레고 모델로 표현하고, 이를 통해 변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적극적으로 참여를 유도합니다. LSP는 단순한 놀이 활동을 넘어, 조직 내 소통과 협력을 증진하고, 구성원들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여 긍정적인 조직 문화를 조성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론입니다. https://www.argo9.com/legoseriousplay
  • 벨류 프로포지셔닝 디자인 캔바스

    legoseriousplay
    1
    0 투표
    1 게시물
    0 조회수
    A
    가치 제안 캔버스는 마케팅 전문가, 제품 담당자, 그리고 가치 창출자를 위한 도구입니다. 베스트셀러 혁신 서적 『가치 제안 디자인』에서 소개된 이 방법은 전 세계 주요 기업과 스타트업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저희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이기도 하지만 고객의 고충을 해결하면서 그에 따른 서비스, 제품을 제안해서 경쟁이 아닌 고객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이익 창출요소가 어떤것이 있고 차별화 할 수 있는 점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image: 6adf437bdf99.jpg] Spotify 를 보세요 . 개인 맞춤형 음악 스트리밍이라는 그들의 약속은 단순한 태그라인이 아닙니다. 그들이 구축하는 모든 알고리즘, 플레이리스트, 그리고 파트너십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습니다. AI 기반 검색 기능부터 팟캐스트 인수에 이르기까지, Spotify의 전체 생태계는 개인 맞춤형 음악 스트리밍이라는 핵심 가치 제안을 실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가치 제안이 파트너십, 핵심 활동, 그리고 핵심 리소스를 통해 전체 비즈니스 모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려합니다. [image: 21d925a67b8d.jpg] 화면에 보이는 VPD 캔버스의 각 요소를 클릭하면 상세 내역이 나타납니다. 디자인을 훨씬 더 다듬어야겠지만 어느정도 만들어진거 같습니다. 이제 포스트잇으로 붙이는 작업만 하면 워크샵에서 작업하는 느낌이 날거 같지만 기본적으로 AI가 문서작성을 도와주면 그걸 사람이 다듬는게 목적이기때문에 조금 더 디테일한 부분을 입력하는데서 부터 차별점을 줄 예정입니다. 텍스트를 넣으면 프레임워크를 찾아주고 그걸 가지고 요소에 해당하는 것들을 분석해서 만들어주는 것을 생각하고 있는데 냅킨에 낙서하는 것같지는 않겠지만 어떤 것이 더 전달력이 있을지에 대한 것만 알려줘도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인디자인으로 자동편집하는 프로그램은 어느정도 처리될듯 저희 출판사의 비전 인간의 가치를 더한 앱, 웹이 새로운 책... 나의 가치를 브랜딩화 하려면? https://www.yes24.com/product/goods/58789427
  • 배송비 포함 980원 알리발 액티비티 숫자선잇기 책

    legoseriousplay
    1
    0 투표
    1 게시물
    2 조회수
    A
    원본: 레고시리어스플레이 작성자: 최고관리자 날짜: 2025-07-04 01:12:20 LEGO® SERIOUS PLAY®(LSP)는 SCARF(상태, 고립감, 공정성, 예측 가능성, 자율성) 모델의 요소들을 지원하여 조직 내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LSP는 구성원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심리적 안정감(상태, 고립감 해소)을 높이고, 공정한 발언 기회를 제공하며(공정성), 미래 예측을 위한 전략적 사고를 촉진합니다(예측 가능성, 자율성). LSP가 SCARF 모델을 지원하는 방식: [image: LPYmzfzW3gkegAhejEDwONZWl6M.png] 상태 (Status): LSP 워크숍에서는 모든 참여자가 자신의 모델을 만들고 설명하는 과정을 통해 존중받고 가치 있다고 느끼게 됩니다. 이는 구성원들의 자존감을 높이고, 심리적 안정감을 형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고립감 (Loss): LSP의 핵심은 집단 토론과 공유입니다. 모델을 만들고 설명하는 과정을 통해 서로의 생각을 이해하고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고립감을 해소하고, 공동체 의식을 강화합니다. 공정성 (Fairness): LSP 워크숍은 모든 참여자가 동일한 레고 블록을 사용하며,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는 차별 없이 공정하게 의견을 제시하고 반영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공정성에 대한 인식을 높입니다. 예측 가능성 (Certainty): LSP는 복잡한 문제를 모델로 시각화하고 분석함으로써 미래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입니다. 문제 해결 과정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다양한 시나리오를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예측 불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을 줄여줍니다. 자율성 (Autonomy): LSP는 참여자들이 자신의 모델을 만들고, 설명하며, 다른 사람의 모델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을 통해 자율성을 증진시킵니다. 스스로 문제 해결에 참여하고, 아이디어를 제시하며,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을 통해 자율성을 키울 수 있습니다. LSP를 활용한 SCARF 모델 적용 예시: 팀 빌딩: 팀원들이 각자 팀의 강점과 약점을 레고 모델로 표현하고, 이를 통해 팀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미래 목표를 설정합니다. 전략 수립: 새로운 사업 아이템이나 전략을 구상할 때, 팀원들이 각자의 아이디어를 레고 모델로 표현하고 공유함으로써,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고 더 나은 전략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갈등 해결: 팀 내 갈등 상황을 레고 모델로 표현하고, 각자의 입장을 설명함으로써 갈등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모색합니다. 변화 관리: 조직 변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저항이나 불안감을 레고 모델로 표현하고, 이를 통해 변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적극적으로 참여를 유도합니다. LSP는 단순한 놀이 활동을 넘어, 조직 내 소통과 협력을 증진하고, 구성원들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여 긍정적인 조직 문화를 조성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론입니다. https://www.argo9.com/legoseriousplay
  • LEGO® SERIOUS PLAY®(LSP) SCARF

    legoseriousplay
    1
    0 투표
    1 게시물
    0 조회수
    A
    원본: 레고시리어스플레이 작성자: 최고관리자 날짜: 2025-07-04 00:51:12 https://brunch.co.kr/@atmark99/3163
  • – 8월2일 모집중 (8/16팀 모집)

    healthsurvey
    1
    0 투표
    1 게시물
    7 조회수
    A
    원본: 건강 체크리스트 설문 작성자: 관리자 날짜: 2020-04-22 23:46:03 http://dplaylab.kr/2014/07/30/아빠캠프-2-lego-seriousplay-for-kids/ – 8월2일 모집중 (8/16팀 모집) Posted by EverPress for Node
  • 풀장도 있어요 ^^ 아이들 좋아하겠죠~

    healthsurvey
    1
    0 투표
    1 게시물
    5 조회수
    A
    원본: 건강 체크리스트 설문 작성자: 관리자 날짜: 2020-04-22 23:46:19 풀장도 있어요 ^^ 아이들 좋아하겠죠~ Posted by EverPress for Node
  • 내일 오시기 전에 방문하셨어요 ^^ 아이들이 좋아하네요~

    healthsurvey
    1
    0 투표
    1 게시물
    5 조회수
    A
    원본: 건강 체크리스트 설문 작성자: 관리자 날짜: 2020-04-22 23:46:23 내일 오시기 전에 방문하셨어요 ^^ 아이들이 좋아하네요~ Posted by EverPress for Node